INSTRUMENT

관측장비

  • SNUCO₂M (Seoul National University CO₂ Measurement)

    CO2/H2O 농도 측정 장비

    LI-850(LI-COR사의 NDIR 센서) 및 CR310(데이터 로거)로 구성

    CO2 정확도 1% 이내, 1초당 CO2 농도 측정

    도시 내 이산화탄소 농도 관측 수행(2018~)

  • EM27/SUN

    XCO2, XCH4, XCO 산출 장비(1분당 데이터 기록)

    휴대용 FTIR 기기로, 원하는 곳에 설치하여 관측이 가능함

    장비간 오차가 약 0.1%로 매우 정확함

    도시 내 연직 이산화탄소, 메탄, 일산화탄소 모니터링 및 온실가스 위성 검증 자료로 사용함(2020 ~)

    국제 지상 관측 네트워크인 COCCON 과 협력하여 연구를 수행함

  • LI-7815

    휴대용 CO2, H2O 농도 측정 장비

    OF-CEAS 센서 방식으로 정확도가 매우 뛰어남

    1초당 데이터 기록(준실시간), 400ppm기준 0.1ppm(1초 평균), 0.5ppm(5초 평균)의 정밀도(CO2)

    휴대용 장비로 주로 온실가스 모바일 플랫폼에 장착 운용하며 도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원 및 농도 추정

  • LI-7810

    휴대용 CO2, CH4, H2O 농도 측정 장비

    OF-CEAS 센서 방식으로 정확도가 매우 뛰어남

    1초당 데이터 기록(준실시간)

    (CO2) 400ppm기준 3.5ppm(1초 평균), 1.5ppm(5초 평균)의 정밀도

    (CH4) 2ppm기준 0.6ppm(1초 평균), 0.25ppb(5초 평균)의 정밀도

    휴대용 장비로 주로 온실가스 모바일 플랫폼에 장착 운용하며 도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원 및 농도 추정

  • 온실가스 모바일 플랫폼

    휴대용 CO2, CH4, H2O 농도 측정 장비

    LI-7810, 7815, GLA131-MEA, Dust decoder D-11 장비, 위치좌표측정, 기상장비 등 휴대용 온실가스 측정장비를 장착한 온실가스 모바일 측정 차량

  • GLA131-MEA

    CH4/C2H6/H2O 측정 장비

    OA-ICOS 센서 방식으로 정확도가 매우 뛰어남

    1초당 데이터 기록(준실시간) 및 정확도 1%

    도시 내 메탄, 에탄 농도 관측

    화석연료 사용(천연가스) 구분을 위해 활용

  • GLA133-GGA

    CH4/CO2/H2O 측정 장비

    OA-ICOS 센서 방식으로 정확도가 매우 뛰어남

    1초당 데이터 기록(준실시간) 및 정확도 1%

    도시 내 메탄, 이산화탄소 농도 관측

    드론에 장착하여 3차원 온실가스 입체관측에 활용

  • Picarro G2401

    CO2/CH4/CO/H2O 농도 측정 장비

    CRDS 방식으로 정확도가 매우 뛰어남(CO2 정확도 0.1% 이내)

    CRDS 방식으로 정확도가 매우 뛰어남(CO2 정확도 0.1% 이내)

    약 3초당 물질 농도 측정

    도시 내 이산화탄소, 메탄, 일산화탄소 농도 관측 수행(2024~)

  • Serinus 30

    CO 농도 측정 장비(NDIR 센서)

    1초당 CO 농도 측정

    국립산림과학원과 함께 운용 중

  • Serinus 60

    NO/NO2/NOx 농도 측정 장비(CAPS 센서)

    1초당 물질 농도 측정

    국립산림과학원과 함께 운용 중

  • DJI Matrice 200

    DJI사의 전문가용 드론

    최대 이륙 중량 6kg

    Zenmuse X5S 및 RedEdge-MX 렌즈와 함께 운용

  • DJI Matrice 600 Pro

    DJI사의 전문가용 드론

    최대 이륙 중량 15 kg

    GLA133-GGA 센서와 함께 운용

  • Zenmuse X5S

    가시광선(RGB) 카메라

    약 5cm의 공간 해상도(고도 150m 기준)

    DJI Matrice 200와 함께 운용

  • RedEdge-MX Dual

    다중분광(가시광선+적외선) 카메라

    약 10cm의 공간 해상도(고도 150m 기준)

    DJI Matrice 200와 함께 운용

    식생지수(NDVI, EVI) 제작 가능

    식생 관측을 통한 식생 계절 연구에 활용

  • 식물계절 관측용 CCTV

    환경변화에 따른 식생의 생애주기를 파악하는 식물계절(Phenology)연구를 다각도로 진행하기 위해 카메라(CCTV)를 이용하여 숲과 나무 관측

    IDIS사의 NC-S6286HRXL모델과 원격조정 관리 환경 구축

    2.13MP 저조도 특화 센서 및 AF 광학 줌 렌즈로 동일하게 관측

    특수장비가 아닌 일반 CCTV 카메라로 대중적으로 활용한 방법으로 관측지역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기록

  • GRIMM DustDecoder 11-D

    PM10/PM2.5/PM1/TSP 측정 장비

    Light Scattering at Single Particles with Diode Laser 센서 방식으로 정확도가 뛰어남

    6초당 데이터 기록 및 98%의 재현성을 가짐

    도시 내 미세먼지 농도 관측(2024~)

  • ECO PHYSICS nCLD AL2

    NO/NO2/NOx 측정 장비

    Dual Chamber Chemiluminescence Detection 방식으로
    높은 감도와 빠른 응답성을 가짐

    1초당 데이터 기록 및 < 0.2ppb의 정확도를 가짐

    도시 내 질소산화물 농도 관측(2023~)

  • FloX

    SIF(solar-induced chlorophyll fluorescence) 관측 장비

    0.3nm 분광 분해능의 초분광 광학 관측 기기

    687, 760nm 파장 대역의 SIF를 비롯한 여러 식생 지수 산출

    도시숲 수목을 대상으로 야외 고정형 타워 관측(2023~)

    식생 탄소 흡수 능력의 평가 지표로 활용

  • Eddy Covariance System

    CO2 flux/CO2/H2O 측정 장비

    10Hz 속도로 molar density를 측정하여 CO2 flux 추정

    3차원 풍향풍속계 기반 난류의 이동을 직접 관측하여 정밀함

    도시숲에서 대기-육상 생태계 간 CO2 교환량 관측(2023~)

    도시 및 산단에서 단위면적당 CO2 배출량 산정을 위해 활용

  • 환경변수 모니터링 시스템

    CO2/PM2.5/PM10/온∙습도/풍속

    5분 간격 데이터 기록

    꿀벌 군집 내부의 환경변수와의 비교용으로 활용

    서울대 관악캠퍼스와 제주대 첨단과학기술단지에 설치(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