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vas Logo
  • Home
  • Professor
  • Member
  • Research
  • Instrument
  • Publications
  • News
  • 137
  • 기후변화에 따른 차 영향 논문 발표

    2021-03-25

    우리 연구실과 중국 북경대학교, SUSTech, 미국 콜로라도 주립대학교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의 논문이 국제 학술지 ERL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에 게재되었습니다. 정수종 교수님은 교신저자로 참여하여 기후변화로 인해 중국 내 차 생산량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규명하였습니다.<Effects of extreme temperature on China's tea production> 본 연구는 과거 차 생산량 자료와 기온 변화 간 관계를 분석한 첫 번째 연구로 1990년부터 2016년까지의 차 생산량 자료를 이용하여 과거 극한 기온으로 인해 초래되었던 중국 내 차 생산량 감소치를 정량화하고, 향후 기후변화가 진행됨에 따라 수반되는 극한 저온일 감소 및 극한 고온일 증가로 인해 차 생산량이 어떠한 영향을 받을지 규명함. 연구 결과 과거 차 생산량은 극한 고온보다는 극한 저온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던 것으로 밝혀졌고 지구온난화 1.5도와 2도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을 때 극한 저온으로 인한 피해가 큰 지역에서는 차 생산량이 증가하지만 북위 25도 이남 지역에서는 극한 고온 일수 증가로 차 생산량이 감소하는 등 지역에 따라 차 생산량이 다르게 변화할 것으로 전망됨. 이는 차 생산 산업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지역에 따라 다른 전략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함. 링크 : https://doi.org/10.1088/1748-9326/abede6

  • 136
  • 장동영 박사님 ERL 논문 게재

    2021-03-09

    장동영 박사님의 논문이 ERL(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에 출판되었습니다. <Direct radiative forcing of biomass burning aerosols from the extensive Australian wildfires in 2019–2020>본 연구에서는 2019년 9월부터 2020년 2월까지 계속되었던 호주의 초대형 산불로 인해 다량의 에어로졸이 발생하였고 그 결과 지표면으로 도달한 햇빛이 차단되어 지역적인 방사냉각(radiative cooling)이 나타났음을 밝힘. 일반적으로 산불과 같은 바이오매스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대기 중 체류시간은 짧은 편이지만 이번 호주 산불로 발생한 에어로졸은 태평양을 넘어 남아메리카 지역까지 도달한 것으로 분석됨.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기후변화가 심화됨에 따라 산불 발생 빈도와 강도 모두 증가할 것이라 예상되는 만큼 바이오매스 에어로졸이 지구복사 강제력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수 있으므로 미래 기후를 모의하는 모델에 에어로졸의 영향이 적절히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함.  링크 : https://doi.org/10.1088/1748-9326/abecfe

  • 135
  • 2021년 봄 졸업식

    2021-02-26

    2021년 2월 윤정민, 손정훈 학생이 졸업을 맞이하였습니다. 3년 반의 박사과정생 생활을 마치고 박사학위를 취득한 윤정민 박사는 우리 연구실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근무하며 연구원으로서의 생활을 시작하게 됩니다. 우수논문상과 함께 석사학위를 취득한 손정훈 학생은 연구경험을 바탕으로 사회에 진출합니다.~~두 학생의 졸업을 축하합니다~~

  • 134
  • 박훈영 박사님 ERL 논문 출판

    2021-02-22

    박훈영 박사님의 연구논문이 ERL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에 온라인 게재되었습니다. <Leaf area index in Earth system models: how the key variable of vegetation seasonality works in climate projections> 본 연구에서는 제5차 및 6차 결합모형 비교프로젝트 (CMIP5 및 CMIP6)에 참여한 지구 시스템 모형을 대상으로 북반구 식생의 계절성이 모형 내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대하여 밝혔음. 위성 자료와 비교하였을 때, 지구 시스템 모형은 엽 면적 지수의 계절적 변화 강도를 다소 약하게 나타내는 경향성이 있었으며, 특히 가을철 생장계절 종료일을 3주 가량 늦게 모의하는 것으로 드러났음. 더 나아가 대다수의 지구 시스템 모형은 생장계절 시작일 및 종료일의 온도에 대한 반응을 제대로 나타내지 못하였음. 이와 같은 결과는 지구 시스템 모형이 현재 육상 생태계의 계절적 특징 및 지면-기후 상호작용을 제대로 모의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의 변화를 제대로 전망하지 못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음.링크 : https://doi.org/10.1088/1748-9326/abe2cf

  • 133
  • 이아름 학생 Urban Climate 논문 출판

    2021-02-03

    이아름 학생의 논문이 Urban Climate 저널에 게재되어습니다. <Potential role of urban forest in removing PM2.5: A case study in Seoul by deep learning with satellite data> 본 논문에서는 위성자료와 딥러닝을 활용하여 미세먼지의 자연적 저감원으로 제시되고 있는 도시숲의 실제 미세먼지 저감능력을 평가함. 이를 위해 서울을 대상으로 위성자료를 기반으로 딥러닝 모델을 구축하여 공간적으로 연속된 초미세먼지 농도 지도를 산출하고 지상 미세먼지 관측소가 없는 지역에서의 초미세먼지 농도를 정량적으로 추정하는 작업을 수행함. 지역에 따른 초미세먼지 농도 분포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숲 지역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도심 지역의 농도에 비해 낮았으며 WHO 미세먼지 일평균 기준 초과일수 또한 도심 지역에서 더 많았던 것으로 확인됨. 링크 : https://doi.org/10.1016/j.uclim.2021.100795

  • 132
  • 꿀벌을 위협하는 미세먼지 영향 규명

    2021-01-23

     조유리 학생의 논문이 저널 Ecology and Evolution에 게재되었습니다. 본 연구는 미세먼지가 꿀벌의 체이시간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밝힌 최초의 연구입니다!!  조유리 학생은 꿀벌 체이시간의 영향을 밝히기 위해 꿀벌의 등에 RFID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Foraging trip duration of honeybee increases during a poor air quality episode and the increase persists thereafter> 꿀벌은 편광을 이용하여 방향을 찾기 때문에 원활한 체이활동을 위해 일정 세기 이상의 편광이 유지되어야 함. 미세먼지는 편광의 세기를 약화시키므로 꿀벌이 길을 찾지 못하고 헤매게 하는 등 체이 활동을 어렵게 함. 이는 심각한 대기오염이 꿀벌 개체수 감소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함. 링크 : https://doi.org/10.1002/ece3.7145

  • 131
  • 유럽우주국(ESA) 위성 프로젝트 참여

    2021-01-21

    ICSL은 유럽우주국(ESA) Sentinel-5 위성 프로젝트에서 측정하는 메탄과 일산화탄소에 관한 연구에 참여하기로 하였습니다. 연구실에서 운영하는 2대의 EM27에서 관측되는 메탄과 일산화탄소 측정값을 이용하여 위성의 측정값에 대한 지상검증 연구가 이루어질 계획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바랍니다. https://s5pcampaigns.aeronomie.be/index.php/campaigns/coccon 

  • 130
  • 교수님 국회도서관 초청 서평 발간

    2021-01-20

    서평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링크 : https://nanet.go.kr/cmmn/file/fileViewer.do?menuName=week590_&access_type=MOBILE&fileName=PDF_1610946018590.pdf&fileSavegbn=0&fileExt=

  • 129
  • GCB 초청 논문 출판

    2020-12-29

    교수님과 박하영 학생의 GCB(Global Change Biology) 초청논문이 게재되었습니다. 논문을 통해 탄소순환을 연구하는 데에 있어 위성을 통한 전 지구 식생 모니터링이 갖는 중요성을 밝혔습니다. 

  • 128
  • 박하영 학생 RSE 논문 출판

    2020-12-14

    박하영 학생의 논문이 RSE(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저널에 출판되었습니다.<An assessment of emission characteristics of Northern Hemisphere cities using spaceborne observations of CO2, CO, and NO2> 본 연구에서는 최근 2년 겨울 동안 TROPOMI 위성에서 관측된 CO2, CO, NO2 농도를 바탕으로 북반구 도시들의 배출 특성을 평가함. CO/CO2 및 NO2/CO2 비율과 도시 인구 및 GDP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도시 GDP가 증가함에 따라 CO/CO2, NO2/CO2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또한, 이러한 경향은 선진 도시(developed cities)에서보다는 대기오염 규제가 약하고 연소효율이 낮은 화석연료를 주로 이용하는 개발이 진행 중인 도시(developing cities)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남.링크 : https://doi.org/10.1016/j.rse.2020.112246

  • 127
  • 숲과나눔 장학금 선정

    2020-12-04

    우리 연구실의 박하영, 방정연, 이주희 학생이 재단법인 숲과나눔의 2021 인재양성 프로그램의 장학생으로 선정되었습니다.

  • 126
  • 연구데이터/AI 분석활용 경진대회 수상

    2020-12-03

    지난 11월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한국 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주최한 2020 연구데이터·AI 분석활용 경진대회가 진행되었습니다. 이아름 학생은 '머신러닝을 활용한 도시 내 대기오염에 대한 숲의 역할 고찰'을 주제로 참여하여 장려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 125
  • 숲과나눔 환경학술포럼 우수상 수상

    2020-11-17

    박하영 학생은 연세대학교에서 진행된 재단법인 숲과나눔 환경학술포럼에서 COVID-19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인간활동 변화가 대기오염물질 및 이산화탄소 농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하여 포스터 발표를 진행해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 124
  • 극지기초원천기술사업 선정

    2020-11-08

    ICSL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사업에 선정되었습니다. 향후 5년간 서울대 (정수종 교수님, 연구책임자), 연세대 (강호정 교수님), 포스텍 (국종성 교수님) 3개 대학 연구진들과  미국 NASA, 유럽, 중국, Global Carbon Project 등 다영한 국제연구진들과의 협력을 통하여 극지기후변화의 비밀을 밝히고자 합니다.  

  • 123
  • 2020 한국기상학회 우수논문발표상 수상

    2020-10-29

    10월 28~29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2020년 한국기상학회 가을학술대회에서 박하영 학생이 환경 및 응용기상 분과 우수논문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처음 1페이지 2페이지 3페이지 4페이지 5페이지 열린6페이지 7페이지 8페이지 9페이지 10페이지 다음 맨끝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서울대학교 220동 336호 [08826]
Copyright Seoul National University Climate Lab
+82 - 2 - 880 - 56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