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vas Logo
  • Home
  • Professor
  • Member
  • Research
  • Instrument
  • Publications
  • News
  • 152
  • 서울-도쿄 온실가스 모니터링 캠페인

    2022-02-28

    서울대 기후연구실은 일본 국립환경과학원, 한국 국립환경과학원, 미국 NASA 와 함께서울-도쿄 온실가스 입체관측 공동 캠페인을 진행하였습니다. 본 집중관측은 서울 도심에서 지상관측소-자동차-항공기-위성을 동시에 이용하여 CO2, CH4, CO를 측정한 첫 사례입니다. 우리 연구실은 매년 지속적인 캠페인을 통해 동북아 지역의 기후변화 대응 및 온실가스 저감 현황을 모니터링할 예정입니다.  

  • 15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표

    2021-12-09

    교수님께서는 12월 9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개최한 제1회 통합운영 및 활용 심포지엄에서 <다양한 위성 활용을 통한 기후위기대응>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 150
  • 연구실 COP26 참가

    2021-10-31

    10월 31일, 기후변화 논의를 위한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가 영국 글래스고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COP26은 파리협정이 시작된 이후 개최된 첫 번째 당사국총회로 모든 당사국은 1.5℃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국의 2030년까지의 온실가스 감축 계획을 발표하게 됩니다. 또한, 이산화탄소에 이어 두 번째로 중요한 온실가스인 메탄을 적극적으로 줄이기 위한 국제 연대인 글로벌 메탄 서약이 발족될 예정입니다. 우리 연구실은 메탄 감축 선언에 동참하여 향후 여러 국제기구, 연구기관과 함께 메탄 감축을 위한 과학적 연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 149
  • 알래스카 탐사!!

    2021-09-24

    우리 연구실에서는 <극지역 기후-생태계-탄소 피드백이 전지구/북극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참여연구원 중 한 명인 김종민 학생은 극지연구소 과학자들과 함께 9월 중 약 20일 동안 알래스카를 방문하여 관측지에 설치된 탄소 플럭스 관측 기기 보수작업과 새로운 장비 설치를 보조하고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토양 수분함량 및 토양 깊이 측정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코로나 시국임에도 알래스카를 방문하여 의미있는 관측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 148
  • 어린이과학동아 온라인 클래스 강연

    2021-09-14

    김종호 학생은 어린이과학동아 '지구사랑탐사대' 온라인 클래스에 초청받아 기후변화로 인해 단풍과 같은 식물계절현상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한 특별강연을 진행하였습니다. 지구사랑탐사대는 어린이과학동아에서 운영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로, 이에 참여하는 시민 탐사대원들은 자발적으로 탐사를 수행하여 과학자들이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환경 모니터링 자료를 생산하게 됩니다. 우리 연구실은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계절현상 변화를 규명하기 위해 지구사랑탐사대 팀과 협업하고 있습니다.특별강연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XCJRQyiXw2k

  • 147
  •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대기 중 CO2 농도 변화 규명

    2021-08-20

    박채린 학생의 논문이 Atmospheric Pollution Research에 개제되었습니다. <Reduction in urban atmospheric CO2 enhancement in Seoul, South Korea, resulting from social distancing polic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본 연구에서는 대기 중 CO2 농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COVID-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된 결과 서울의 대기 중 CO2 농도 증가분이 감소하였음을 밝힘. 대기 중 CO2 농도에 대한 서울의 기여분은 COVID-19 확산 이전 기간 중에는 5.27%였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와 2.5단계 기간 중에는 각각 3.54%와 3.19%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남. 본 연구 결과는 실효성 있는 배출량 저감 정책들이 개발된다면 효과적인 도심 이산화탄소 농도 감축이 가능함을 시사함. 또한, 도심 내 이산화탄소 관측 네트워크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온실가스 저감 정책 평가가 가능함을 보여줌.링크 : https://doi.org/10.1016/j.apr.2021.101176

  • 146
  • 2021 AOGS Award

    2021-08-06

    8월 1~6일, 제18회 AOGS (Asia Oceania Geoscience Society) annual meeting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기후변화/탄소순환에 대한 연구를 수행 중인 윤정민 박사와 박채린, 심소정, 오은실, 박하영 학생이 참여하여 포스터 및 구두발표를 하였습니다.박채린 학생은 학생 포스터 발표 부문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 145
  • 한국&북한 "대기" 온실가스증가 원인 규명

    2021-07-20

    ICSL은 한반도의 대기 중 CO2 농도 상승을 야기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통합 진단할 수 있는 모델링 시스템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습니다. 대기 중 CO2 농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는 1) 경제 성장에 따른 배출량 변화 2) 산림 식생의 탄소흡수 및 토양호흡을 통한 탄소배출, 3) 해양 물리 및 생지화학 과정, 4)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탄소배출, 5) 대기 수송에 의한 원거리 효과 등을 진단하여이들 요인이 한국과 북한의 대기 중 CO2 농도 상승에 얼마나 기여하였는지 정량적으로 산출하였습니다. 본 연구결과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분야 전문 국제 학술지 Carbon Balance and Management에 2021년 7월 온라인으로 발표되었습니다.본 연구 결과는 대기 CO2 농도 상승 억제를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구조 변환을 통해 국내 CO2 배출량을 시급히 줄여야 함을 시사합니다링크: https://doi.org/10.1186/s13021-021-00186-3

  • 144
  • 대기 미세플라스틱 프로젝트 착수!!

    2021-07-19

    ICSL 연구진은 CESCO, 산림과학원 연구진들과 함께 서울 대기 중 미세 플라스틱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pilot 프로젝트를 착수하였습니다.7월 19일 동대문구를 시작으로 서울 시내 10곳에서 2주간 집중관측을 수행합니다.

  • 143
  • 누락 배출원에서 배출된 온실가스 탐지

    2021-07-10

    ICSL 지상 모바일 관측팀은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 발생한 고농도 메탄 사례를 감지하고, 발생원을 추적하여 APJAS에 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특히, 지상 모바일 관측을 통해 드러난 대기 중 고농도 메탄은 동일한 지역에서 있었던 항공 관측을 통해서도 여실히 나타났다는 점이 매우 흥미롭습니다. 본 연구에서 고농도 메탄을 유발하였다고 추정한 배출원은 국가온실가스인벤토리에는 보고되지 않은 정보이므로 대기 모니터링에 기반한 온실가스 분석의 중요성을 시사합니다. 링크 : https://doi.org/10.1007/s13143-021-00248-z

  • 142
  • AI를 이용한 단풍예측 논문 발표

    2021-07-05

    ICSL은 봄철 phenology 자료를 바탕으로 AI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가을철 단풍시기 예측 방법을 개발하고, 그 결과를 이를 APJAS에 게재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한국에 국한된 식물종을 사용하였다는 한계가 있지만 species 수준에서 AI에 기반한 단풍 예측을 시도한 세계 최초의 연구입니다. 앞으로 연구팀은 더 많은 자료를 수집하여 전세계에 적용 가능한 AI 기반 식물계절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 141
  • 한반도 식물계절 빅데이터 구축

    2021-06-30

    ICSL은 국립수목원에서 10년간 관측한 우리나라 자생식물 25종의 식물계절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지난 10년 동안 한국 산림지역에서의 식물계절 변화 추이를 밝힌 논문을 APJAS에 발표하였습니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식물계절 데이터베이스는 앞으로 기후변화, 생태계모델링, 탄소중립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됩니다. 링크 : https://doi.org/10.1007/s13143-021-00247-0

  • 140
  • 제 17회 IWGGMS 미팅

    2021-06-17

    지난 6월 14~17일, 제17회 IWGGMS 미팅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습니다. IWGGMS는 인공위성 기반 온실가스 관측에 관한 국제 워크샵으로, 우리 연구실에서 관련 연구를 수행 중인 오은실, 박하영 두 학생이 참가해 포스터 발표를 하였습니다. 오은실<Verifying urban CO2 emissions over the Seoul Capital Area by using OCO-3 XCO2>우리 연구실과의 국제협력에 따라 서울을 집중 관측하는 OCO-3 위성에서 관측된 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용하여 서울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검증/보정함 박하영<Urban greenhouse gas observations of Seoul using measurement from ground to space>2021년 2월 있었던 위성-항공-지상 관측 프로젝트를 통해 밝혀진 서울의 이산화탄소와 메탄, 일산화탄소의 배출 특성을 설명함 

  • 139
  • 국민생활과학기술 포럼 발표

    2021-05-03

    지난 5월 3일, 제38회 국민생활과학기술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 포럼은 <국제사회에 약속하는 기후목표 「2050 탄소중립」 묻고 답하기>를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포럼의 발제자로 참석하여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후과학의 필요성'을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탄소중립 관련 전략에 대한 수립·평가를 지원하는 과학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online.kofst.or.kr/kofstNewsDetail.do?pageIndex=1&key=269211&cate2=COM045_EZmyQIE&listType=T

  • 138
  • NASA (미국우주항공국)와 공동연구 개시

    2021-03-27

    ICSL과 NASA의 공동연구를 통해 서울이 OCO-2의 새로운 target으로 선정되었습니다. 기존의 OCO-3 공동연구에 이어 2개의 위성 모두 서울을 주요 관측지로 선정한 것입니다. 앞으로 지구 온실가스 농도를 감사하는 NASA의 위성을 통해 서울의 CO2 측정을 좀 더 면밀하게 진행합니다.* 현재 ICSL은 유럽우주항공국 ESA, 일본우주항공국 JAXA, 미국우주항공국 NASA 등 3개 국가에서 시행 중인 위성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공동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처음 1페이지 2페이지 3페이지 4페이지 열린5페이지 6페이지 7페이지 8페이지 9페이지 10페이지 다음 맨끝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서울대학교 220동 336호 [08826]
Copyright Seoul National University Climate Lab
+82 - 2 - 880 - 56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