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vas Logo
  • Home
  • Professor
  • Member
  • Research
  • Instrument
  • Publications
  • News
  • 167
  • NIES & JAXA 출장

    2023-02-10

    2월 9~10일, 교수님, 장동영 박사님, 박채린, 박하영, 김연수 학생이 NIES(일본 국립환경연구소) 주관 세미나에 참여하였습니다. 서울대와 NIES 각 기관은 <서울-도쿄 온실가스 공동 관측 캠페인> 캠페인 기간 중 수행된 위성·항공기·지상(모바일, 타워) 온실가스 농도 관측 결과와 이를 통해 파악한 서울-도쿄의 온실가스 농도 특성에 관하여 논의하였습니다. 세미나 이후에는 JAXA(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에 방문하여 온실가스 관측을 위해 운용하고 있는 위성인 GOSAT-1, GOSAT-2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이들 위성을 이용해 국내 핵심 지역을 집중 관측하기로 협의하였습니다. 

  • 166
  • 1월의 어느 날

    2023-01-26

    폭설로 길이 막히고 학교 건물에 난방이 고장나버린 어느 날, 그래도 모두 열심히 연구 중 입니다

  • 165
  • SNU-EDF 메탄 심포지엄

    2022-12-09

    12월 9일, 환경방어기금(EDF) 소속 연구진과 우리 연구실 구성원이 한자리에 모여 그동안 수행해온 메탄 관측 및 배출량 산정 연구결과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우리 연구실은 서울에서도 모바일 관측자료에 기반하여 대형 배출원에서의 메탄 배출량을 추정할 수 있음을 보였습니다.  또, EDF 연구진과 논의를 통해 향후 연구 범위를 우리나라 전체로 확장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구체화하고 연구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습니다.

  • 164
  • 싱가포르 GEMM Asia 회담 참석

    2022-12-06

    지난 12월 5~6일 싱가포르에서 GEMM Asia 회담(Asia Summit on Global Environment Measurement and Monitoring)이 개최되었습니다. 아시아의 민간/정부/연구기관의 기술자/정책입안자/과학자들이 모두 모여 각국의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관측/관리 현황을 공유하였습니다. 교수님은 우리 연구실의 박채린, 박하영 학생, KEI, 국립환경과학원과 함께 우리나라 대표로 참석하여 국내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모니터링 체계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또한, 회담에서는 향후 아시아 지역이 기후변화에 공동대응하기 위해 미국, 뉴질랜드 등 GEMM 이니셔티브 거점 센터와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습니다. 

  • 163
  • 2022년 하반기 기후변화학회

    2022-12-02

    11월 30일~12월 2일, 제주도에서 2022년 한국기후변화학회 하반기 학술대회가 진행되었습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박채린, 김종호, 김연수 학생이 <지자체의 과학기반 탄소중립 진단 및 달성방안>을 주제로 하는 특별세션에 참여하여 구두발표를 하였습니다. 교수님께서는 학술대회 중 있었던 국가 기후위기 적응연구 협의체 포럼에 참석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적응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 162
  • 2022년 가을 기상학회

    2022-10-21

    지난 10월 19~21일, 광주에서 2022년 한국기상학회 가을학술대회가 진행되었습니다.우리 연구실에서는 조유리, 박채린, 김종호, 심소정, 박하영, 김동희, 백장미 학생이 참가하여 다양한 주제의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 161
  • 삿포로 탄소플럭스 관측지 방문

    2022-10-14

    10월 11~14일, 우리 연구실의 박채린, 김종호, 심소정, 박하영 학생은 교수님과 함께 일본 산림총합연구소(FFPRI)에서 운영하고 있는 탄소플럭스 관측 네트워크 중 삿포로 관측지에 방문하였습니다. FFPRI에서는 총 6개의 관측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산림 온실가스 흡수량을 모의하는 모델의 성능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이번 방문을 통해 플럭스 타워 운영의 기본 원리와 주의사항, 관측 데이터의 처리, 자료 검증 및 유지/관리를 위해 유의해야 하는 사항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 160
  • 2022 GGMT & TRANSCOM

    2022-09-21

    9월 16~21일, 네덜란드에서 2022 GGMT와 TRANSCOM 미팅이 개최되었습니다.GGMT와 TRANSCOM은 세계기상기구(WMO)에서 매년 전지구 대기관측 프로그램(GAW)을 통해 주관하는 미팅으로,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 관측 기술, 관측된 온실가스 농도에 기반한 대기 모델링에 관해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입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박채린, 심소정, 박하영, 김연수 학생이 참여해 포스터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세계 주요 도시에서는 온실가스 관측 및 모델링이 어떻게 수행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해당 연구진들과 교류할 수 있었던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 159
  • 국제심포지엄: 탄소중립을 위한 위성기술의 활용

    2022-09-06

    9월 6일, <탄소중립을 위한 위성기술의 활용>을 주제로 한 국제 심포지엄이 있었습니다.심포지엄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의 탄소 모니터링 수준에 대한 검토와 탄소중립 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앞으로 어떠한 방식의 탄소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관한 발표가 진행되었습니다. 특히, 탄소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데 있어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탄소관측 위성 도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였습니다.

  • 158
  • NASA JPL 수석기술연구원 Jason Hyon 방문

    2022-09-05

    지난 9월 7일, NASA의 온실가스 관측 위성을 운용하는 제트추진연구소(JPL; Jet Propulsion Laboratory)의 수석기술연구원 Jason Hyon이 우리 연구실을 방문하여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 세미나를 통해 온실가스 및 대기환경 관측을 수행 중인 위성에 관한 최신 정보와  위성관측 시 발생하는 시공간 공백을 극복하고자 AI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현 상황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 157
  • 2022년 가을 졸업식

    2022-08-31

    2022년 8월, 김종민, 신재원 학생이 석사과정을 무사히 마치고 졸업하였습니다.김종민 학생은 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내셔널(MSCI)의 ESG 팀에서 근무를 시작합니다. 우수논문상을 수상한 신재원 학생은 우리 연구실에서 석사 후 연구원으로 연구를 이어 나가게 되었습니다. 두 학생의 졸업을 축하합니다~

  • 156
  • 2022 온드림 글로벌 우수 장학생

    2022-07-22

    우리 연구실의 박채린 학생이 현대차 정몽구 재단에서 주관하는 온드림 인재 장학사업의 2022 글로벌 우수 장학생으로 선정되었습니다.

  • 155
  • NASA/JPL 쿠로수 박사 방문

    2022-07-18

    NASA/JPL의 Thomas Kurosu 박사님이 우리 연구실을 방문해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 Kurosu 박사님은 위성을 이용해 전지구 이산화탄소 농도를 모니터링하는 OCO-3 미션에 참여하는 주요 멤버로, 서울이 OCO-3 미션의 집중 '타겟' 지역으로 선정됨에 따라 우리 연구실과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습니다. 이번 세미나를 통해 플룸탐지, 배출량 검증 등 OCO-3 관측자료가 활용되는 다양한 연구를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 154
  • 서울대-EDF 연구협약 체결

    2022-05-23

    지난 5월 23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글로컬 홀에서 서울대와 EDF(환경방어기금)의 주요 관계자들이 모여 연구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번 서울대-EDF 현구협약 체결의 목적은 메탄 측정과 관련된 과학기술 및 모범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전 세계 LNG 수요 중 50% 이상이 발생하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석유 및 가스 공급망 전반에 걸쳐 메탄 배출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번 연구협약 체결을 추진하였던 정수종 교수님은 "메탄 저감은 탄소중립 달성 및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목표인 만큼 곧 메탄 감시위성을 발사할 예정인 세계적인 연구기관인 EDF와 서울대 환경대학원의 이번 연구협약은 한국을 넘어 전 세계 기후위기 대응에의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 평가하였습니다. ** EDF는 중대한 환경 문제 해결을위한 과학적 솔루션을 제시하는 세계적인 비영리 환경단체로, 과학, 경제, 법률, 다양한 민간 부문과 파트너쉽을 맺고 있습니다. 또한, 기후변화 완화를 위해 메탄 감축이 필수적이란 인식 하에 메탄 배출량 저감을 위한 지식과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확장하여 지난 해 COP26에서 '글로벌 베탄 서약 (Global Methane Pledge)' 선언을 이끌어내는 데에 기여하였습니다. 2023년에는 메탄 관측 전용 위성인 메탄샛(MethaneSAT)을 발사하여 석유와 가스 생산지에서의 메탄 배출을 모니터링할 예정입니다. 

  • 153
  • 산림 지역 측정지점 방문

    2022-03-15

    기후연구실은 산림과학원 연구진들과 함께 강원도 횡성과 평창에 위치한 산림 미세먼지 측정 타워를 방문하여 추후 타워를 활용한 탄소 플럭스 측정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처음 1페이지 2페이지 3페이지 열린4페이지 5페이지 6페이지 7페이지 8페이지 9페이지 10페이지 다음 맨끝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서울대학교 220동 336호 [08826]
Copyright Seoul National University Climate Lab
+82 - 2 - 880 - 56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