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기후연구실 연말 워크샵
2023-12-28
12월 28일, 우리 연구실은 2023 기후연구실 연말 워크샵 진행하였습니다. 모든 연구실 구성원은 이번 연도 연구 결과와 내년도 연구 일정에 대해 발표하며 올해를 마무리하고 내년을 계획했습니다. 발표 이후에는 12월 한 달간 몰래 도움을 주었던 서로의 마니또를 공개하고, 마니또를 위해 준비한 선물을 주고받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023 AGU 국제학술대회
2023-12-15
12월 11~15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2023 AGU 국제학술대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박하영 학생이 구두발표를, 장동영, 주재원, 이유리, 조유리, 박채린 박사님과 김종호, 김연수, 최근재, 이혁재 학생이 포스터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연구주제별 최신 동향을 살펴보고, 국외 연구팀과 연구 내용을 공유할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2023년 하반기 기후변화학회
2023-11-24
11월 22~24일,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한국기후변화학회 2023 하반기 학술대회가 진행되었습니다. 우리 연구실은 <과학기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국가 온실가스 공간정보지도 개발 현황>을 주제로 기획세션을 개최하여 국내 온실가스 배출 및 흡수 현황에 대한 공간 정보 산출을 위해 수행되고 있는 다양한 연구를 소개했습니다.
한미 우주포럼
2023-11-07
11월 6~7일, 외교부는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하여 미 국무부와 공동으로 한미 우주포럼을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포럼에는 정부, 상업 우주 분야, 학계 관계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여 양국 간 우주외교·안보·탐사·상업 협력 현황을 공유하고 이를 더 공고히 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습니다. 정수종 교수님은 <지구관측, 기상 및 기후변화 관련 한·미 우주 협력>을 주제로 진행된 세션에 참석하여 기후변화 및 재난재해 관리 등을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양국 간 지구관측 협력 실태를 점검하고, 양국 간 위성 데이터의 접근과 공유를 위한 협력 확대 방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2023 SBS D 포럼
2023-11-02
11월 2일, SBS는 서울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에서 2023 SBS D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AI 시대, 다시 쓰는 경제 패러다임>을 주제로 진행된 이번 포럼에서 정수종 교수님은 탄소중립 세상으로 이끌어 줄 게임 체인저로서 기후테크의 역할을 조명하고, 기후테크 산업 육성 및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습니다.2023 SBS D 포럼은 아래 링크를 통해 다시 볼 수 있습니다: https://www.sdf.or.kr/2023/ko/videos
기상학회 우수학위논문상 수상
2023-11-01
11월 1~3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된 2023 한국기상학회 가을학술대회에서 우리 연구실 박채린 박사님이 우수학위논문상을 받았습니다. 수상을 축하합니다~
탄소중립 국제 심포지움
2023-10-12
서울대학교 기후센터는 10월 11일, <Global Efforts in Greenhouse Gas Research for Carbon Neutrality>를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했습니다.심포지엄을 통해 ▲ 온실가스 농도 관측, ▲ 온실가스 배출/흠수량 정량화, ▲ 전지구적 이행점검(Global Stocktake) 대응 등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 중인 국내외 전문가를 초청하여 온실가스 연구의 최신 동향을 살펴보고 정보를 교류할 수 있었습니다.
막스플랑크 연구소 학술교류 MOU 체결
2023-08-30
지난 8월 30일, 서울대학교에서 개최된 한-독 기후변화대응 심포지움에서 기후테크센터- 막스 플랑크 연구팀 간 학술교류 MOU가 체결되었습니다. 이번 MOU 체결을 위해 우리 연구실을 방문한 막스 플랑크 화학 연구소의 Jos Lelieveld 교수 연구팀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구팀 간 활발한 학술교류가 중요하다는 의견에 공감하여 ▲ 학생 교류, ▲ 공동연구, ▲ 정보 공유 등의 학술교류에 상호 협력하기로 하였습니다.
2023년 여름 졸업식
2023-08-29
2023년 8월, 박사과정생 조유리, 박채린 학생과 석사과정생 김동희 학생이 학위과정을 마치고 졸업하였습니다. 조유리, 박채린 박사는 우리 연구실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근무하며,김동희 학생은 박사과정에 진학하여 연구를 계속합니다.세 사람의 졸업을 축하합니다~
기후연구실 1호 박사님들
2023-06-13
2018년 관악에 기후연구실이 생기고 2023년 여름 첫 박사가 탄생했습니다. 조유리 학생은 미세먼지가 벌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그리고 박채린 학생은 도시 이산화탄소의 배출 특성 및 거동 메커니즘을 밝히는 연구를 통해 박사학위 심사를 받았습니다. 기후연구실 가족들은 앞으로 두 박사님의 활약을 응원하고 기대하겠습니다.
2023 GMAC 학회 참석
2023-05-23
미국 콜로라도, 볼더에서 열린 51st Global Monitoring Annual Conference (GMAC)에 박채린, 심소정 학생이 참여했습니다. 또한, NOAA에 방문하여 서울 도심 동위원소 관측을 위한 향후 NOAA-기후연구실 공동연구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EGU 2023
2023-04-29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린 EGU 2023에 교수님을 포함하여 7명이 참여하였습니다. 학회기간동안 국외 연구자들과 다양한 논의를 진행하고 향후 공동연구에 대한 계획을 세웠습니다.
2023 봄 기상학회
2023-04-21
4월 18~21일, 부산 벡스코에서 2023 한국기상학회 봄 학술대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학회에는 우리 연구실의 모든 학생이 참가하여 기후/기상과 관련된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해보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습니다.
막스플랑크 Jos Lelieveld 교수님 세미나
2023-04-14
4월 14일, 우리 연구실은 막스플랑크 연구소의 화학연구소의 대기화학 부서 책임자인 Jos Lelieveld 교수님을 초청하여 <Global impacts of particulate air pollution on public health>를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세미나를 통해 대기오염이 공중보건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며 특히, 화석연료 연소로 발생하는 대기오염이 위험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창경궁 숲 심포지엄
2023-04-07
4월 7일, 우리 연구실은 창경궁 내 경춘전에서 개최된 '창경궁숲의 환경가치 발굴 및 지속가능한 관리방안 연구' 심포지엄에 참석하였습니다. ▲ 창경궁의 역사문화적 가치, ▲ 창경궁 수목의 환경경제적 가치, ▲ 도시 이산화탄소 농도 관측의 중요성, ▲ 탄소 흡수원으로서의 도시 토양의 중요성 등 4개의 주제발표가 통해 창경궁 숲 내 식생 및 토양이 대기오염물질 저감 및 이산화탄소 흡수에 기여할 수 있음을 새롭게 조명하였습니다. 이번 심포지엄을 계기로 우리 연구실은 궁궐 숲의 공익적 기능 평가를 위해 문화재청 및 산림청과 공동 협력을 약속했습니다.